자신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볼 수 있는 메타인지 테스트_차이나는클라스_인생수업5회_JTBC
메타인지(a.k.a 자기 객관화) meta : 더 높은, 초월한 cognition : 인지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
내가 뭘 알고 있고 뭘 모르고 있고
그것을 알려면 내가 어떤 노력을 얼마의 시간으로 해야하는지를 아는 것
시험 보기 전에 공부량, 기간을 미리 예측하여 준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내가 어떤 방식으로 일을 해야 더 잘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봐야되겠다라는 생각을 해야함
자존감의 핵심은 스스로를 높이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해야 자존감을 조금씩 향상시킬 수 있음
본인 스스로를 과대평가하면 커다란 실패로 인한 좌절감을 겪으며 자존감이 떨어질 수 있음
전전두엽이 두껍고 활성화될수록 메타인지 능력이 뛰어남
메타인지를 키우기 위해서는 마인드셋(마음가짐)이 중요하다
마인드셋 이론 by 사회심리학자, 캐럴 드웩
1. 고정 마인드셋
'나는 이걸 잘해' '나는 이걸 못해'를 잘 알고 있어서 잘 하는 것만 함
(못할 것 같은 건 시도도 안 함)
2. 성장 마인드셋
처음에는 못했는데 조금씩 노력해서 발전하는 것을 성취로 느낌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이 메타인지가 발달할 가능성이 큼
정재승 교수 또한 '고정 마인드셋'일 때 컴퓨터과목을 C학점을 받는 시기도 있었지만 현재는 컴퓨터로 뇌를 모델링하는 뇌과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잘 할 수 있는 것만 하자' 칭찬과 인정에 고팠던 학창 시절
스스로 틀을 깬 경험은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고
불가능해 보이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토크 콘서트 중 20대 청년의 질문
만약 누군가가 저를 믿어줬다면 제 삶이 어떻게 달라져 있었을까요?
부모님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 난 널 믿어라고 대단히 말해주진 않더라도 묵묵히 지켜봐 주면서 성장과 노력을 칭찬하고 과정을 격려하는 것이 중요
사회적학습_ 남이 하는 것, 가르쳐주는 것을보고 내가 배우는 것
공간지각력은 동물과 비슷 ,사회적학습은 인간이 압도적임
외국어 습득은 대화하면서 배워야 효과 있음
동물을은 생존을 위해 전략적인 파트너로서 무리지어 다님. 인간의 우정이 특별한 점은 인생에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음
나의 이득과 상관없이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좋은 우정이라는 것을 인간은 지님
우정은 비슷한 사람들과 맺게 됨 -> 친구들끼리는 뇌 활동도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음
비슷한 사람들끼리 생활하면 갇힌 세계관을 지닐 수도 있음
우정은 좋은 것이고 내 삶에 큰 의지가 되지만 학습의 관점으로 보자면 나와 다르게 반응하는 사람들로부터 받는 영향들(저렇게 생각할 수도 있네, 저런 아이디어가 있을 수 있네)하는 경험들이 많아져야 나의 삶이 풍성해짐
성장
내가 어떻게 살아갈지 내 존재의 이유를 찾는 것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깨달음을 얻어야 진정한 의미의 성장이 됨
경험만이 답이다
어디서 들은 것, 어디서 읽은 것 보다는
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한 데 이는 창의적인 사고를 해야한다는 것
이를 위해서는 무수한 시도가 필요하다.
네이처(국제학술지) 9월호에 실린 논문
위대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어떻게 탄생 되었는가
삶의 궤적은 상당히 유사
수많은 방법과 방향으로 시도하다가 한 방향에 집중하여 성공하는 사례가 많음
내 삶의 궤적은 얼마나 무질서하고 복잡하고 다양하고 무수한 시도들로 점철되어 있는지를 떠올려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신의 시간을 돌아보세요)
회복탄성력_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
'잡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bit 코빗 가상화폐 거래소 사용 후기 (0) | 2024.11.12 |
---|---|
일상 속 라틴어_차이나는클라스_JTBC (0) | 2024.08.23 |
예금 vs 적금 어떤 걸 넣어야 할까? 그리고 선납이연? (0) | 2023.03.23 |
2023 토목기사 시험일정/접수 (0) | 2023.03.20 |
베어베터 쿠키 제니쿠키랑 비슷해요?!!! 너무 맛있어요!!! 존맛탱!!!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