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중국관련자료

중국공부_테무/알리익스프레스

luluralra 2024. 6. 6. 14:28
반응형

중국공부_테무/알리 익스프레스 


1

중국 온라인 플랫폼 이용 이유: 가격이 저렴해서

테무(Temu) 의 모회사 "핀둬둬"는 공동구매로 성장한 회사
(테무는 초저가 박리다매를 지향하는 모회사를 두고 있음)

중국 경기 둔화-> 재고량 많아짐-> 저가판매

테무는 적자를 보는 회사

판매자를 들여올 때 보조금을 지급하는 '테무'

판매자들 간 경쟁이 심할 경우, 가격 경쟁을 통해 가장 저렴한 판매자 선택. 가장 싸게해서 경쟁자 진입을 막음
(제조 생태계를 통제가능한 셀러 많음)

테무-> 미국시장 공략으로 처음 2022년도 시작

"초이스"라는 것을 통해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도 빠른 배송서비스 시작
(기존 한국시장에서 많이 팔리는 1만여개 제품을 한국 물류창고에 미리 보관하여 반나절 배송 시스템 가능해짐)
일주일에 운송 배 6척 운항 중
(배 한 척에 40피트 컨테이너 200개 수용가능)
(40피트 컨테이너 안에 라면박스 1000개정도 수용가능)

알리익스프레스의 국내 배송은 cj 대한통운 통하여 배송

중국 유명 패션 플랫폼: 쉬인, 사이다

사이다 브랜드의 환불의 경우 해외반품비가 더 들기 때문에 포인트 70% 제공하고 소비자 반품 안하는 방법으로 유도

중국 제품 유해물질 검출 많음 특히 유아/어린이 제품 주의


출처
Youtube [경제토크쇼 픽 3회] ’초저가’ 중국 알리 · 테무의 습격..피해 대책과 향후 유통 판도?
https://www.youtube.com/watch?v=OZv6wkqCpmk

 

 

 

2

테무 : 2015년에 전자상거래 업체로 시작

중국은 행정구역과는 별개로 인구와 경제수준 등을 기준으로 1~5선 도시로 분류.

1선 도시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2선 도시 : 허페이, 다롄, 푸저우, 샤먼, 하얼빈 지난 외 24개 도시

3~4선 도시는 중소 도시로 분류 됨. 하지만, 사람이 많이 살고 있음. 그래서, 이 테무 모회사인 핀둬둬 사이트에 현지 농산물을 생산자가 직접 올려 중간 유통업자를 빼고 소비자에게 직접 팔아 보는 걸로 결정. 농산물 기르는 게임도 넣으면서 혜택을 주고 구입을 유도하는 식으로 전략 세움.

2022년 기준
2023년 기준

 

중국행정구역 체계(5단계)

성급-한국의 특별시, 광역시, 도, 자치구

지급-한국의 도, 특례시

현급-한국의 시

향급-한국의 읍, 면, 동

촌급-한국의 리

 

보편적으로 중국의 현급도시인 이우라는 도시에서 제품을 많이 생산하고 판매하는 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음

중국 이우시장- 중국 이우시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도매 시장

네이버, 쿠팡 한국 셀러들도 여기서 물건 매입 많이 함

 

완구/장난감 - 청하이구(중국 남부 산터우) : 디자인, 원료공급, 모형가공, 부품제조, 장비성형, 제품제작 다 이루어짐

조명 - 중산

여성화 - 원저우

캐리어 - 바오딩

가구 - 포사

 

테무는 ai를 활용해 판매 시장에 대한 분석을 미리 하고 생산자와 거래(직매입은 아니지만 판매는 알아서 하는 완전 위탁방식. 가격 책정에도 개입을 함)

테무에서는 무료배송/ 무료반품 가능한 이유 ?

각 나라별로 물류센터에 물건을 가져다 놓고 판매

현재 13000원 사면 무료배송 가능한데 반품은 현금으로 받고 직접 중국으로 반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저렴한 경우는  포인트로 받는 경우도 있음.

 

보편적으로 한국에서 정식으로 출시 및 유통되는 제품들은 반드시 받아야 하는 KC마크 인증 제도가 있음

KC마크(Korea Certification Mark)

전기를 사용하거나 입에 닿는 그릇들은 정식 수입을 하려면 이러한 절차가 필요했지만 직구는 싸게 살 수 있지만 안전성과 짝퉁과 같은 가품에 대한 위험부담이 소비자들에게 있음.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던 사항으로는 중국 신장 자치구에서 난 면화 제품도 테무 사이트에서 판매가 되기도 하였음. 이는 중국 정부가 서북 쪽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무슬림인 신장 위구르족을 대상으로 강제 노역을 하도록 함. 따라서, 전세계적으로(미국, EU)으로 판매 금지 대상 사항임.

저가로 들어오는 중국플랫폼으로 인해 국내 중소업체 자영업자분들이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짐.

국내 정부의 필요한 노력으로는 가품 단속 강화하고 중국 플랫폼 업체들과 자율 협약을 통해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 (테무는 한국 지사 없음. 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 지사 있음) 국내에 주소를 둔 대리인을 의무로 지정하는 제도를 도입하도록 한국 정부에서 발표함.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 대리인에 대한 업무의 구체성이 떨어지는 것은 문제임.

 

출처

'테무'는 어디서 초저가로 물건을 떼올까? '테무'의 비밀 A부터Z|세상의 모든 기업 '테무 편' #테무 #temu #ecommerce

https://youtu.be/b1o08Kh22RU?si=HdCg8wVHmmnCKfAs

 

 

 

 

반응형

'중국어 > 중국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이바오, 후이바오 생일 축하해~~~~!!!  (0) 2024.07.07